투자관련

새로운 정부의 정책추진(반도체, 친환경)

허그베어 2022. 5. 12. 00:09

반응형

 

 

새 정부의 정책, ‘정책의 순서’에 대한 고민 → 1) 반도체 (소부장), 2) 친환경, 그리고 3) 미디어/콘텐츠

1) 반도체

- 향후 경제안보의 관점에서 미국을 중심으로 반도체 Capex 투자가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한국 또한 새 정부에서 반도체 분야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을 추진할 가능성이 높다

- 이러한 과점에서,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발표한 『윤석열정부 110대 국정과제』에서 반도체 분야를 ‘경제안보 확보’라고 표현한 점에 주목한다.

- 또한 반도체의 경우 설비투자 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정책의 구체성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반도체 분야도 빠른 시일 내에 정책이 발표될 수 있음에 주목한다

- 반도체 분야의 경우 설비투자에 대한 지원이 나올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반도체 소부장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가능성이 높겠다.

2) 친환경분야

- 러-우 전쟁으로 인해 원자재 가격이 급등하고, 에너지 관련 원자재의 수급이 불안한 상황이다. 전쟁의 장기화 가능성과 향후 또다른 전쟁의 발발 가능성 등을 대비하기 위해 친환경 분야에 대한 정책이 우선적으로 준비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다.

- 친환경 분야에 대한 인수위 발표내용은 이미 어느 정도 정책의 구체성을 갖추고 있는 상황이다

- 따라서 매크로 환경에 따른 정책의 필요성과 더불어, 정책이 발표되기까지의 과정도 가장 신속하게 진행될 가능성이 높겠다.

3) 미디어/컨텐츠

- 방송사업 허가/승인/등록제도 등 구체적 개선 내용 명시, 세액공제 등의 방향성 제시 등이 명확하게 제시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수 있겠다


오늘 취임식을 했고 이제 곧 정부가 육성하고자 하는 정책에 대한 발표가 하나 둘 나올시기..

KB증권에서는 반도체와, 친환경, 미디어/컨텐츠 분야를 우선순위에 두어 보고 있다.

1분기 반도체 업체들의 실적이 대부분 양호하였으며 이후 성장성도 보이는 상황에서 인플레이션과 수요둔화 이슈로 최근 주가는 지지부진한 모습

정부의정책이 기대되는 상황이고

친환경분야는 수소를 얘기 하는 듯.

새 정부는 태양광이나 풍력보다는 수소와 관련 인프라에 대한 의견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

[KB증권 하인환] - 주식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