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폴더블 4

[디스플레이] 8.5세대OLED, 폴더블 관련주

1. AP시스템 : LTPS용 ELA, 봉지공정, Laser Lif Off장비/부품, OCR장비 - 시가총액(22.08.24종가기준) 2,735억 l 22년 예상실적 (매출액 5,031억, 영업이익 631억) - 안정적인 부품 매출(년간 2,000억)과 함께 폴더블 기기 성장과 삼성디스플레이 투자 모멘텀 재개 기대 -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드와 플립4 신제품 판매계획 상향 조정 (850만대 → 1,000만대이상) - 삼성전자 2025년까지 폴드와 플립 2300만대까지 성장 전망(M/S 85%) -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폴더블 후공정 Capa 증설은 지속 발생 중 -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 투자 본격화 시 동사 주가의 가파른 상승 예상 2. HB테크놀러지 : OLED 전공정 AOI 검사장비, 리페어 장비 제..

[IT부품] 하반기는 폴더블

1. IT수요둔화 ​1) 수요 피크아웃 우려 ​ IT 세트 판매량: 역기적 효과 IT 세트 수요(판매량) 둔화가 확대되고 있다. 코로나 2년 동안의 높은 기저 환경에서 대외 이슈(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 봉쇄, 인플레이션)가 발생했기 때문이다. 서버를 제외한 대부분의 세트 산업에서 감소 동향이 확인된다. ​ 미국 외 글로벌 지역에서의 IT 수요도 변곡점의 시점 차이가 있을 뿐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는 언택트 수혜(노트북, 태블릿)와 보복 소비(TV, 가전)의 대상으로 IT 제품들이 선택 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제는 과거의 호황이 미래의 IT 소비 시장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감소 규모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 세트별 Peak-out 시점 점검 21 년 3 분기 Peak-out 발..

IT부품, 스마트폰부품, 기판, 전장

1. 수요 Peak-out 우려 앞으로의 IT 세트 수요(판매량)은 낙관적으로 보기만은 어렵다. 코로나 2년 동안의 높은 기저 때문이다. 일부 제품군에서는 감소 동향이 확인된다. 이미 Peak-out 발생: 스마트폰, TV, 태블릿 스마트폰과 TV, 태블릿은 이미 수요 감소 동향이 명확하다. 세 기기의 출하량은 21년 3분기부터 하락하기 시작했다. 스마트폰과 TV, 태블릿은 21년 3분기에 각각 11%, 20%, 10% 감소(YoY)했다. ① 코로나 반사수혜를 누리지 못한 스마트폰은 여전히 부진하다. ② TV는 외출 제한에 따른 보복 소비로 지난해 하반기와 2021년 상반기에 출하량이 급증했었다. 그러나 현재는 보급 형 LCD 제품군을 중심으로 판매 감소 동향이 뚜렷하다. ③ 태블릿은 판매가 가장 부진한..

폴더블폰 부품

힌지와 디스플레이 부품이 폴더블폰에서 가장 중요한 변화 폴더블폰에서 주목하는 부품은 힌지와 디스플레이 관련 부품(커버윈도우, 보호필름, RF-PCB 등)이다 최대 수혜 부품은 힌지다. 진입장벽이 높고, 폴더블폰은 물론 롤러블폰 등에 다양한 형태의 힌지가 채택될 전망이다. 이 밖에 접히는 커버윈도우(UTG/CPI 등)가 핵심 부품이다. 애플도 2023년 새롭게 폴더블폰을 공개할 전망인데, 애플 폴더블폰supply chain이 어떻게 꾸려질지도 역시 초미의 관심사다. 1. 힌지: 생각보다 높은 진입장벽 힌지는 폴더블폰뿐만 아니라 롤러블폰, 더블 폴더블폰 등에도 쓰여 새로운 폼팩터 개발을 가능케한다. 단순한 부품이라 생각될 수 있지만, 예상보다 높은 진입장벽을 지니고 있다. 2019년 삼성전자가 처음으로 폴더..

산업분석/기타 2022.01.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