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분석/2차전지,전기차,자동차 17

SK온 배터리 관련 밸류체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116713?sid=101 [시그널] SK온, 몸값 22조로 절반 낮춰…얼어붙은 기관 투심 녹였다 SK(034730)온이 악화된 시장 상황에서도 31일 1조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은 기업가치를 처음의 절반 수준인 22조 원으로 낮추는 등 투자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n.news.naver.com SK(034730)온이 악화된 시장 상황에서도 31일 1조 원의 투자 유치에 성공한 것은 기업가치를 처음의 절반 수준인 22조 원으로 낮추는 등 투자자들의 요구를 받아들였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투자은행(IB) 업계의 한 관계자는 “SK온 배터리 사업 자체의 전망성은 밝지만 현재 시장 유동성이 줄어든..

2차전지 장비업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 디이엔티

1. 2차전지 장비 업체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1) 배터리 3사 생산능력 350GWh, 3년 내 1,000GWh까지 확대될 것 현재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은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기업들이 과점 중인 시장으로, 중국 기업이 합산 점유율 55.1%로 1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배터리 기업은 내수 시장 위주의 전략을 취하고 있어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시장에서는 국내 기업들이 점유율 55.0%로 강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배터리 제조업체의 수주잔고도 가파르게 상승 중이다. 1Q21 기준 3사 합계 수주잔고는 300조원 수준이었는데, 2Q22 기준 LG에너지솔루션 310조원, SK온 220조원으로, 구체적인 숫자를 제공하지 않은 삼성SDI를 80조원으로만 잡아도 3사 합계 수주잔고는 610..

전기차 충전 인프라, 국내시장 현황과 전망

국내 전기차 및 충전 인프라 현황 ​ 1) 국내 전기차 신규등록 현황 ​ 2021년의 신규 등록대수는 연간 약 10만대로 5만대에 미치지 못했던 2020년 대비 2배 이상의 증가를 기록했다. 올해는 지속되고 있는 공급망 이슈에도 불구하고 상반기에 이미 약 6만 9천대의 전기차 신규등록이 이루어져 다시 한번 전년대비 크게 증가할 것이 예상된다. 현대차가 국내 판매되는 전기차의 77%를 점유한 가운데, 아이오닉5, 포터2EV 등의 판매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 누적 전기차 대수 및 충전기 수 현황 ​ 전기차 판매 증가에 따라 국내 전기차 누적 등록대수도 급속도로 증가하여 2022년 1분기말 기준 전기차 대수는 약 30만대 수준에 이르렀다. 현재 우리나라의 전체 등록차량 대수가 약 2,500만대임을 감안하면 ..

미래 자동차의 핵심역량, 차량 경량화

연비개선 기술 세가지 엔진 및 구동계(파워트레인)를 개선하는 방법이다. 높은 연비 개선 효과에도 불구하고 상당 부분 완성된 기술로 추가적 기술개발에 한계가 있다는 단점이 있다. 공기역학적 디자인 설계로 공기저항을 최소화해 연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이다. 다른 기술에 비해 비용은 적게 들어가나 획기적 효과를 위해 유선형 형태의 일괄적 디자인을 적용해야만 한다. 즉 수요와 기능을 고려하지 않은 디자인으로 소비자와 제품 다양성을 충족하기에 어려움이 크다. 배터리 전기차, 수소전기차, 하이브리드전기차 등 대체 에너지를 활용하는 차종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상적 방법이지만 단기적으로 적용확대가 쉽지 않으며 추가 적용 비용과 인프라 구축 비용이 수반되는 한계점을 보인다. 반면 경량화 소재 개발을 통한 차량 경량화 방..

전기차 배터리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린뉴딜 정책의 저탄소 에너지 확산기조에 따라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리튬 이차전지의 핵심 희소금속 원료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배터리 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폐배터리로부터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1. 전처리과정 전처리 과정은 폐배터리를 BP나 금속분말형태의 중간원료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하며, 크게 파쇄 전처리 공정과 고온용융 전처리 공정으로 나뉜다. 1) 파쇄 전처리 공정 배터리 팩 분리, 방전, 해체, 파쇄, 선별 공정을 통해 물리적으로 회수성분을 농축해서 BP(Black Powder or Ba..

자동차, 자동차부품 2022 하반기 전망

전기차 시대, 현대차그룹의 전략 변화: 양적 성장이 아닌, ASP 상승과 비즈니스 모델 변화 추진. ​ (1) 전기차, 달리는 전자 제품: 전기차는 1)내연기관차 대비 부품 수가 30%~50% 축소된다는 점과, 2) 중앙집중식 제어 장치로 구동되는 전자 제품이라는 특성을 갖추고 있음. (2) 전기차 시대, 완성차 유리 vs 부품사 불리: 전기차의 시대에는 1) 전체 Value Chain 간소화 및 완성차의 권한 확대, 2) 차량 아키텍처의 제어권을 완성차가 보유, 3) 차량 관련 데이터도 완성차 소유. 이 점에서 부품사의 부가가치 축소 불가피. 향후 완성차가 부품사 대비 Valuation 프리미엄을 받을 것으로 예상. (3) 현대차/기아, 향후 5년간 판매 성장률 CAGR 5.7%: 현대차/기아 합산 글..

현대차, 조지아 신공장 증설 계획 발표

현대차, 조지아 EV 신공장 증설 계획 발표 현대차는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 전용 공장을 건설할 계획. 신공장은 현대차 그룹의 미국 3 공장이자 제네시스의 첫 번째 해외 공장, 그룹 최초의 전기차 전용 공장임. 현대차 그룹은 2006 년 현대차 알라바마 공장, 2009 년 기아 조지아 공장 준공 이후 시장 점유율이 큰 폭으로 상승한 바 있음. 3 공장 증설로 미국 시장 점유율 상승의 전기를 맞게 될 것으로 기대됨. 신공장은 연간 생산량 30 만대를 디자인 캐파로 하여 총 투자금액 70 억 달러가 투입될 계획으로 2025년 상반기 가동 예정 최대 5,000 달러 추가 보조금과 세제 혜택 현지 공장 설립으로 현대차 그룹은 최대 5,000 달러의 전기차 보조금을 추가 지급 받을 수 있게 됨. 현재 바이든 행정..

폐배터리 재활용

비용을 낮추기 위한 기업들의 경영전략에 주목 → 폐배터리 재활용 관련주 원자재 가격 급등, 금리 급등 등은 기업에게 ‘비용 상승’ 리스크로 연결된다. 비용 감소를 위해 기업들이 어떤 노력을 할 것인지에 착안해 본다면, Space X와 같은 ‘재사용/재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이라는 방식이 채택될 가능성이 높다. 그 기대감이 가장 높은 분야가 ‘폐배터리 재활용’이다 배터리 분야의 경우 원자재 가격이 상승한 점뿐만 아니라, 주요 원자재 생산국가들인 러시아, 우크라이나, 중국이 공급망의 혼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2가지 이유로 인해 배터리 분야의 원자재를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면, 폐배터리를 통해 원자재를 추출하는 ‘폐배터리 Re-Cycling’이 주목받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배터리 Re-Cycling이 특..

2차전지 - 한국과 중국의 배터리 차별화

전방 전기차 시장은 중국이 더 강한데 1분기 전방시장인 전기차 시장은 견조했다. EV Volumes 집계에 따르면 중국은 1월 386천 대, 2월 298천 대로 전년 동월비 각각 116%, 173% 급등했다 반면, 한국 2차전지 업체들의 주요 수요지역인 유럽의 경우는 동 기간 159천 대, 166천 대로 각각 각각 37%, 39% 상승해 중국에 비해서는 성장률이 못 미쳤다 3월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공급망에 대한 문제가 겹치면서 유럽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생산 차질을 경험한 반면, 중국은 주요 대도시에서 코로나 발생에 따른 부분 또는 전면 봉쇄에 들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중국 공신부가 발표한 전기차 판매량은 446천 대로 다시 월별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투자심리에 영..

2차전지제조공정

장비Capex의 31%를구성하는전극공정 - 양극재, 음극재를만드는전극공정은2차전지장비Capa중31%를차지하고있음. 2022년부터2025년까지20조원시장이신규형성될것으로기대. - 전극공정은크게믹싱, 코팅, 압연, 절단으로구분됨. - 믹싱공정은도전제, 바인더, 용매를혼합하여슬러리를생산하는공정. 코팅공정은만들어진슬러리를기재위에코팅하여양극재, 음극재를제조. 압연공정은코팅된슬러리를압착시켜전극두께감소, 에너지밀도및결착력을증가. 마지막으로절단공정은전극의폭을제품기준에맞게절단. - 전극공정장비內Capa구성비율은코팅60%, 믹싱18%, 압연6%, 절단5%를가지고있음. 코팅장비가60%로압도적인비중을차지하고있음 장비Capex의 17%를구성하는조립공정 - 양극재, 음극재를전지용기에삽입하여셀로조립하는조립공정은2차전지장비Capa중..

전기차 충전 인프라

주요 국가 전기차 충전 인프라 현황 및 전망 글로벌 충전 인프라 프로젝트 전기차 충전 인프라 밸류체인 개인용 전기차 충전기의 한계 - ‘19년 기준 국내 주거 형태는 아파트 비율이 51.1% 수준으로 개인용 충전기 사용이 제한적 - 장거리 이동을 위해서도 고속도로 휴게소 등 교통 요충지에 급속충전기 설치 필요 전기차 충전인프라 정부 정책의 방향성 - 생활거점 충전기 보급: ’25년까지 50만기 이상 구축 - 이동거점 충전기 보급: ’25년까지 1.7만기 구축(급속충전기 중심) 국내 충전 인프라 프로젝트 기업 전기차 충전 사업 삼성전자 삼성전자 자회사 삼성벤처투자가 전기차 충전 로봇 스타트업 "EVAR"에 지분 20% 투자 현대차 - '21.3월 급속충전소 하이차저를 브랜드화한 이피트(E-Pit)와 국내 ..

전기차 충전산업, 충전인프라

전기차 충전산업, 인프라 - 이미 충전 인프라는 2017 년 대비 2020 년에 네덜란드(162%)와 중국(158%), 프랑스(125%), 영국(114%)에서 높은 성장을 보였다. - 미국과 유럽, 중국 등 주요 지역에서 지원책이 강화되고, 기존 업체 및 신규업체에서 진출이 이어지며 앞으로도 성장을 이어갈 전망이다. - 상대적으로 전기 보급이 늦었던 국내도 2022 년부터 개정된 법이 적용된다는 점도 중요하다. 충전기 설치가 신축 아파트뿐만 아니라 구축 아파트, 기축 시설, 주거지 생활거점으로 확대됨에 따라 많은 변화가 예상된다. 전기차 충전산업, 포인트는? - Bloomberg 전망에 따르면 2040 년까지 충전 네트워크는 전 세계에 걸쳐 2.9억개의 충전기 규모로 성장이 예상되며, 해당 규모를 달성하..

[2차전지] 실리콘음극재, CNT도전재

배터리 셀 대비 소재 업체들의 주가 상승률 우위 지속될 전망 – 올해 들어 주요 완성차 제조사들은 2024년경부터 새로 출시되는 전기차들에 대한 배터리 셀 발주를 상당 부문 진행. 다만 업계에 따르면 이 과정에서 과거 내연기관 산업에서 구매 협상력이 높았던 완성차 업체들이 전기차 생산원가에서 약 40%를 차지하는 배터리 셀의 가격인하를 강하게 요구 – 국내 업체들이 2023~2024년부터 ‘9½½’ 양극재를 적용해 생산 예정인 차세대 하이-니켈 NCM/NCA 배터리는 현재 원재료 가격 동일 가정시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당 제조원가가 지금보다 20%가량 절감될 것으로 전망. 다만 배터리의 제조원가가 낮아지더라도 판가가 같이 하락한다면 셀 업체들의 수익성과 ROIC(투하자본수익률)는 크게 개선되기 어려울 가능..

[2차전지] 4대 핵심소재

양극재 배터리의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소재 전기차용 배터리는 충 방전을 반복할 수 있는 2 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가 채택되고 있다. 액체 전해질을 사용하고 있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가볍고 우수한 전압 특성을 가진다 그 작동방식은 리튬이온이 양극 과 음극 으로 분리된 양극을 액체로 된 전해질을 통과하며 충전과 방전 과정을 거치면서 이뤄진다 배터리의 핵심소재는 양극재 음극재 분리막 전해액 등 크게 4 가지로 구성된다. 배터리의 주요 성능은 에너지밀도에 의해 결정된다 에너지밀도는 단위 부피 L) 혹은무게 kg 당 얼마나 많은 양의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지의 척도로서 에너지 밀도가 높을수록 배터리의 주행거리가 늘어난다. 배터리 내 리튬이온은 그 전기적 특성으로 인해 양극 에서 음극 으로 이동하며 배터리 에너지..

[2차전지] 소재 국산화가 필요한 이유

[IBK증권 전창현] 소재 국산화가 필요한 이유 K배터리 점유율(26%) 대비 빈약한 K소재 점유율(14%)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7월기준 전기차(BEV+PHEV) 침투율이 8%(20년 4%)에 달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유럽의 침투율은 16.1%에 이르고, 중국은 14.8%, 미국은 4.5%로 산업은 구조적인 성장 국면에 위치해있다. 이에 따라 배터리 수요 및 판매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이다. 국내3사(LGES, SDI, SKI)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설치캐파기준 20년 26%(180GWh)에서 23년 32%(465GWh), 25년 36%(785GWh)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규모에서 가장 앞서 있는 LGES는 21년 155GWh에서 23년 310GWh, 25년 445GWh로 3배 가까이 증..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