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피에스케이 5

반도체 장비 2022 2분기 실적 리뷰

장비주의 단기 주가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1) 생산업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컨센서스와 주가 조정이 여전히 진행 중이고, 2) 불확실한 업황 대비 장비주 컨센서스 조정은 아직 뚜렷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현재 반도체 섹터 전반의 동일한 주가 방향성을 고려할 때, 장비주의 뚜렷한 주가 반등은 생산업체들의 주가 조정이 마무리되는 시점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22년 장비주 실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점은 3분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P3 NAND 30K 투자는 3분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결국 P3 DRAM과 파운드리 장비입고 및 매출인식이 반영될 3분기말과 4분기 실적에서 국내 장비사들간의 실적 흐름이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 주성엔지니어링 - 2분기 매출액 1,117억원(+54%..

반도체 장비주 업황

수요 둔화 우려 직격탄, 단기 주가 조정 - 매크로 우려에 따른 시장 전반의 주가 조정 속에서 IT장비주의 주가 역시 큰 폭 하락했다. - 수요 둔화 구간에서 생산업체들의 전략적 행동은 공급 조절(장비 투자축소)이라는 점이 최근 단기 주가 조정의 가장 큰 배경이다. - 그러나 아직 수요 둔화에 따른 하반기 장비 투자 축소 동향은 크게 확인되지 않는다. - 중장기적 관점에서 공정 기술 난이도 증가에 따른 장비사의 구조적 성장 그림은 변함 없다. 외산장비 리드타임 증가 지속 등에 따른 장비 입고 지연 가능성 우려 - 외산장비 리드타임은 13~15개월(21.07)에서 18~30개월(22.06)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 현 상황을 감안시 단기 급격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 외산장비 입고 지연은 전체..

반도체장비 관련주 - 주성엔지니어링/피에스케이/에스티아이

1.주성엔지니어링 ​ 1분기 리뷰: 착실하게 계획 이행 중 주요 매출처는 M16, M14, C2F, 중화권 등이다. 해외 매출 비중은 약 60%로 추정된다. 수주 역시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1분기말 수주잔고는 전분기말(2,586억원) 대비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시장의 우려와 달리 중국 봉쇄령에 따른 장비 입고 차질 등은 미미했다 ​ 22년 전망: 가파른 수주 증가 지속 & 장비 제작 차질 이상 무 22년 매출액 4,766억원(+26%), 영업이익 1,373억원(+34%)을 전망한다. 매분기 수주잔고 증가세와 함께 사상 최대실적 경신이 유력하다 국내외 수주는 여전히 공격적이다. High-K 캐패시터 공정에서의 독보적 기술력(경쟁력)을 기반으로 SK하이닉스 내 M/S 증가 및 해외 고객사 ..

기업분석 2022.06.02

반도체 장비주, 접근법의 변화

장비주, 접근법의 변화가 필요하다 22년 업황 반등이 예상 된다. 그러나 22년 예상되는 장비사들의 모습은 과거와 다르다. 주요 장비사들의 22년 매출액 성장률은 일부를 제외하고 가파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은 1) 코로나19로 인한 현 Cycle의 특수성, 2) 대규모 투자 의 어려움(단위 Capa 당 비용증가), 3) 투자처 분산(비메모리 확대), 4) 장비사간 M/S 차별화 확대(공정 미세화 심화)로 판단된다. 결국 메모리 Cycle이 장비사 실적에 미치는 단일 효과는 이전대비 감소할 가능성이 높아, 앞으로 장비주 투자 에 대해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당사는 장비주 투자 에 대해 실적 관점 의 접근을 제시한다. 고객사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일변도이고, 매출처가 메모리 위주..

[피에스케이] 지금은이거야 이거

[DB금융투자 어규진] 2분기도 최대 실적 전망 피에스케이의 2021 년 2 분기 실적은 매출액 1,120 억원 72.5 %, YoY/ +17.3 %, QoQ), 영업이익 308 억원 290 %, YoY/ 2 3 8 %%, QoQ/ OPM 2 7 .5 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1분기에 이어서 삼성전자향 국내 및 시안 PR Strip 장비 공급이 지속되는 가운데 , 중화권 및 미국 등 해외 고객향 메모리 및 Logic 반도체 장비 주문이 꾸준하기 때문이다. 과거 신규 데모 장비 입고 시 연구개발 비용 등 판관비가 증가하며 수익성 흔들림이 컸었던 부분도 단계적으 로 양산에 가까워지며 1 분기 이후 안정적인 고수익성이 유지 될 전망이다. 이제는 또 비메모리 동사의 기존 PR Strip 및 Dr..

기업분석 2021.07.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