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공사 성수기, 되살아나는 규제 완화 기대감 금리와 건자재 가격 상승 리스크 vs 분양가 상한제 수정안 인허가 전체 인허가 물량 중 서울/수도권 인허가 비중은 사실상 2015 년 이후부터 추세적 우상향을 보이고 있는 실정이다. 서울지역의 경우 인허가가 지난해 83,260 세대로 급격한 턴어라운드를 기록, 2011~2012 년 이명박 정부 당시 인허가 수준까지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재건축/재개발과 같은 도시정비사업은 인허가에서 착공까지 적게는 6 개월, 많게는 1 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지만 일반 도급 현장의 경우 인허가와 동시에 착공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보니, 사실상 인허가와 착공이 비교적 동행하는 모습이다. 착공 그런데, 흔히 동행지표로 알려져 있는 착공, 분양의 이격이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