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분석/기타

천연가스/석탄 기반 설비 타격과 수혜업체(정밀화학, 비료산업)

허그베어 2022. 9. 7. 00:02

 

 

 

 

반응형

 

 

 

비료/곡물 가격 강세의 원인

비료강세의 원인은

1) 중국/러시아의 석탄/가스 제재로 인한 => 암모니아 부족 => 요소 부족 => 요소계 비료(비료 중 55%) 부족/상승이다.

2) 또한, 중국을 포함한 비료국들은 자국 농민 보호를 위해 수출을 제재/중단하기 시작했으며,

3) 러시아는 자체적인 수출 중단을 시작했다.

4) 2H21부터 시작된 비료 부족으로 곡물 부족을 대비해 수요가 개선된 부분도 있을 것이다

 

 

곡물 강세의 원인은

1) 운임 차질/상승 및

2) 2021년 미국의 천재지변(허리케인/한파/화재 등)으로 인한 곡물 생산 감소가 8.9b$(11조원)에 달했기 때문이다. 2021년 미국 순수출 목표가 19.5b$이었기에 공급이 원활하지 않았을 것으로 추측된다.

3) 우크라이나(수출 M/S 12%)의 경우, 4월부터 파종을 시작해야 하는데, 현재 피난 중이며,디젤 부족 등으로 2022년 하반기 생산차질이 예상된다.

 

 

 

 

 

- 염화칼륨 부족으로 인한 경쟁사들의 가성칼륨 생산차질로, 시황 대폭 개선을 기대. 반면, 유니드는 원재료를 전량 캐나다에서 구입하기 때문에, Full 가동 가능하다.

- 유니드는 원가 인상분을 모두 가성칼륨 판가로 전가시키고 있다. 

 

암모니아 가격 상승 중

 

 

 

겨울이 다가올때 천연가스의 가격과 석탄의 가격을 유심히 체크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