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기침체 2

ISM 제조업 지수 (feat 경기침체)

S&P500의 수익률을 가장 잘 설명한다는 미국 ISM 제조업 지수는 5월 56.1pt에서 6월 53.0pt로 급락했습니다. 경기를 판단하는 기준선인 50pt 이하로 내려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과거 경기침체 시기에는 50pt를 크게 하회했습니다. 경기침체에 따른 주가의 추가적인 하락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2022년 6월 30일 기준 블룸버그 자료 미국 ISM제조업 지수란? 미국 공급관리자협회(ISM)에서 발표하는 경제 지표. 매달 400개 이상의 기업 구매/공급 관련 중역을 대상으로 경제 변동과 밀접한 ‘신규주문, 생산, 고용, 재고’ 등에 관한 설문을 통해 산출. 50pt를 기준으로 이를 상회할 경우 경기 확장, 하회할 경우 경기 수축 국면으로 판단 그렇다면,..

Macro 2022.07.20

침체이후의 세상

실업률 상승=침체 - 경기침체에 직면하면 실업률이 높아진다 - 오쿤의 법칙을 감안하면, 실업률이 더 이상 내려가지 않을 때 침체 가능성이 높아 진다 - 미국 실업률이 저점보다 0.3%p 높아진 시점은 경기침체 진입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Sahm Rule) - 지금 당장은 아니지만, 구인 공고가 줄면 실업률이 내려가는 속도는 둔화된다. 경제 개방 효과까지 끝나면 실업률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된다 재화와 서비스 소비가 추세선으로 돌아가는 것은 천천히 - 서비스 소비의 증가와 재화 소비의 둔화는 모두 빠르지 않을 것으로 판단된다. - 서비스 항목 가운데 놀이공원, 극장, 호텔 지출(Fun Service)은 빠르게 회복되겠으나 의료비 지출이 급증할 이유는 없다 - 코로나19 이후 자동차 매출(실질금액=물량기준) ..

Macro 2022.07.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