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박의 중요성
- 선박은 한 번에 12만 ~ 35만 톤 운송이 가능한 글로벌 무역의 핵심 운송수단으로 전체 선대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상선 비중은 약 90%, 국내 조선사들은 상선을 주로 건조(‘22.5, Clarkson)
※ 선박을 이용한 물류는 전체 글로벌 무역의 85%, 우리나라 총 수출입 물동량의 99.7%(9억5500만톤)를 차지함
※ 세계에서 가장 큰 화물 항공기 안토노프 AN-225는 한 번에 250 톤 운송 가능
2. 선박의 분류
- 선박을 용도에 따라 크게 상선(화물선, 컨테이너선, 탱커, 가스선)과 상선 外 선박으로 분류
- 선박 규모가 크고 고난이도 기술(LNG운반선의 극저온 기술 등)이 적용될수록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분류되며, 최근 IMO(국제해사기구)의 대기환경 규제강화에 따라 선박 연료별 분류도 중요해지는 추세
※ 규제강화 기준 : 황산화물(SOx) 배출기준 3.5% → 0.5%(‘20), 질소산화물(NOx) 배출량 80% 저감(’16) 등
3. 선박의 종류
① 벌커 (벌크선, Bulk Carrier)
- 포장하지 않은 벌크화물(곡물, 광석 등)을 그대로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전용선
- 보통의 선박은 화물이 짓눌리지 않도록 화물 사이를 중갑판으로 막지만, 벌크선은 선창(선박 內 화물창고)이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다른 선박에 비해 형태가 단순하여 운송 서비스 가격이 저렴하다는 장점
② 컨테이너선 (Container ship)
- 규격화된 20ft 컨테이너(길이 5.90m ×폭 2.35m × 높이 2.39m)에 포장된 화물을 싣는 천장이 없는 화물선
- 하역 시간 단축 및 하역 비용 절감을 위해 화물을 컨테이너에 넣어 운송하는 산업 전반적 추세에 따라 발전된 선박 형태로 짧은 정박 시간과 낮은 비용으로 배에 화물을 싣고 내리는 하역작업의 효율성을 높힐 수 있음
* 벌크화물과 유류 등도 컨테이너 규격에 맞출 경우 비효율적이긴 하지만 컨테이너선을 통해 운송 가능
③ 탱커 (유조선, Tanker ship)
- 원유, 석유, 화학제품 등 액체 화물을 드럼 등의 용기에 넣지 않고 선창 內에 직접 산적하여 대량 수송하는 화물선
* 원유 30만 톤(200만 배럴, 약 1억불 정도의 원유)을 한 번에 운송 가능 → 한 번의 무역으로 큰 수입 발생
- 유류 등의 선창 內 유동으로 인한 선박의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선체를 최대한 바다 밑으로 가라앉히고 운항
④ 가스선 (가스운반선, Gas Carrier)
-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등을 구(Sphere) 모양의 탱크에 선적 및 수송하는 화물선
- 가스선은 탱커에 속하지만 폭발사고 위험이 있으며 미국에서 서유럽으로의 천연가스 등 에너지 공급에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기 때문에 따로 가스선, LNG선으로 칭하기도 함
* 주요 선박 용어
- 글로벌 물류에서 선박 관련 용어는 크기(부피·무게)를 측정하는 단위와 선박의 형상(길이·너비·높이)을 나타내는 단위가 주로 사용됨
* GT(Gross Tonnage, 총톤수)
- 선박 내부 밀폐된 공간의 용적을 측정한 후 용적을 중량으로 환산한 수치로, 톤이라 표현되어 있음에도 무게 단위가 아니라 부피 단위임
- 선박의 관세, 등록세 및 검사수수료, 항만시설 사용료 등 산정의 기준이 됨
* DWT(Dead Weight Tonnage, 재화중량)
- 선박이 가라앉지 않고 적재할 수 있는 화물 중량의 한계를 의미하며, 선박이 얼마나 무거운 중량(화물 외에도 탑승선원들, 연료 등의 중량도 포함)을 수송할 수 있는지 배의 성능을 나타내주는 척도
- DWT(재화중량) = DISPT(재화배수톤) - LDT(경화배수톤)
:: 재화배수톤(DISPT, Displacement Tonnage) : 화물을 실은 선박의 총 중량(선박 + 화물 무게)
:: 경화배수톤(LDT, Light Displacement Tonnage) : 선박 자체만의 중량(선박 무게)
* CGT(Compensated GT, 보정톤수)
- 조선업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톤수로 선박이 복잡·다양해지면서 GT 단위만으로는 선박의 크기 및 가치, 작업난이도 등을 평가하기가 곤란해짐에 따라 만든 단위로, GT에 CGT계수*를 곱해서 구함
* 1만 GT, 1.5만 DWT 일반화물선의 1GT당 건조에 소요되는 가공 공수(工數)를 CGT계수 1.0으로 정함
→ 대형선으로 갈수록 CGT계수가 작아지고 장비가 복잡한 선박으로 갈수록 CGT계수가 커짐
* TEU(Twenty feet Equivalent Units)
- TEU는 컨테이너 운반선에 선적할 수 있는 총 컨테이너(20ft)의 개수를 나타내는 단위
* 20ft 컨테이너 : 폭 8ft(2.438m) × 높이 8.6ft(2.62m) × 길이 20ft(6.096m)
- 40ft 컨테이너에 포장하여 운반하는 경우 FEU(Forty feet Equivalent Units) 단위 사용
'산업분석 > 건설,건자재,조선,철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설/플랜트 기자재] 중동 ‘양수겸장’ 투자의 시대(feat 네옴시티) (0) | 2022.11.23 |
---|---|
2022 하반기 건설, 건자재, 분양가상한제 (0) | 2022.06.05 |
철강금속산업 투자 포인트 (0) | 2022.05.30 |
무연탄과 유연탄 - 러·우 사태에 따른 유연탄-시멘트-건설업 공급망 현황 (0) | 2022.05.09 |
[철강] 철판의 종류(열연, 냉연) 및 철강 관련주 (0) | 2022.04.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