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MI, "3분기 글로벌 반도체장비 매출 267억 달러…5분기 연속 최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반도체 장비시장통계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268억 달러(한화 약 31조 5800억원)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전년동기 대비 38...
www.thelec.kr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는 '반도체 장비시장통계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이 268억 달러(한화 약 31조 5800억원)를 기록했다고 3일 밝혔다.
전년동기 대비 38%, 전분기 대비 8% 증가한 수준이다. 이로써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5분기 연속으로 최대치를 경신했다.
[키움증권 박유악]
반도체 업종 투자 전략: 삼성전자 > 장비·소재·비메모리 > SK하이닉스
1. 2022년 메모리 총 CapEx 554억달러(+10%YoY)로, 상향 조정
1) 최근 산업 전망 자료를 통해, DRAM 산업의 2022년 CapEx 전망치를 260억달러(+12%YoY)로 상향 조정했음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의 DRAM 신규 장비 투자가 올 연말·연초 집행될 것으로 예상
이는 DRAM 수급에는 부정적이지만, 장비·소재와 같은 서플라이 체인 실적 및 주가에는 긍정적
2) NAND 산업 CapEx 전망치 294억달러(+7%YoY)로, 기존 278억달러에서 상향 조정
2022년 상반기 중 삼성전자 P3, SK하이닉스 M15, 키옥시아 Y7 신규 공장 내 장비 투자 집중될 것으로 판단
AMAT 역시 이번 주 투자자 미팅에서 2022년 NAND 산업 CapEx가 올해 대비 증가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당사의 이러한 판단을 뒷받침해주고 있음
2. 2022년 삼성전자 비메모리 CapEx 14.5조원(+14%YoY) 전망
1) 엑시노스2200의 수율이 크게 개선되며, 갤럭시S22 해외 판매 제품에 대거 탑재될 것으로 예상
Flagship 제품인 퀄컴의 스냅드래곤8 Gen1도 삼성전자의 4nm 파운드리 공정에서 양산 추정
2) 향후 2~3년간 삼성전자 비메모리 부문의 실적 성장세 지속될 전망. [삼성전자 비메모리 영업이익: 2Q21 3,474억원 → 3Q21 6,524억원 → 4Q21 7,901억원 → 4Q22 9,196억원]
삼성전자 파운드리 부문은 Nvidia의 GPU 양산 물량이 확대되고, 2022년에는 해외 신규 고객사들로부터 RF IC와 HPC 제품에 대한 신규 수주 성공할 것으로 판단
3) 삼성전자 비메모리 부문의 2022년 CapEx도 14.5조원(+14%YoY)로 증가할 전망
삼성전자 및 관련 서플라이 체인 업체들의 주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판단
3. 반도체 업종 투자 전략
1) 반도체 업종 투자 선호 순위: 삼성전자 > 장비·소재·비메모리 중소형주 > SK하이닉스
실적 턴어라운드 예상 시점: 1Q22 장비·비메모리 → 2Q22 소재 → 3Q22 삼성전자, SK하이닉스
2) 삼성전자: 업종 top pick 제시. DRAM의 업황 개선 시점이 시장 기대보다 지연되면서, 분기 실적이 2Q22를 저점으로 턴어라운드 할 전망이지만, 올 연말·연초 동안에는 파운드리 사업 성장과 QD-OLED 시장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되며 주가의 상승세로 이어질 것으로 판단. 연말 특별 배당에 대한 투자자 기대감도 반영될 전망
3) SK하이닉스: 2022년 DRAM 업황 개선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 주가 급 반등 기록. 12개월 trailing P/B가 과거 평균 수준까지 상승한 만큼, 삼성전자 대비 valuation 저평가 메리트도 대부분 해소. 그 동안 주가 상승률이 낮았고, 2022년 실적 모멘텀 기대되는 반도체 중소형 업체들의 주가가 더욱 매력적이라고 판단
4) 장비: 메모리 CapEx 상향 조정 수혜. Top picks: 원익IPS, 테스, 오로스테크놀로지
원익IPS: 고객사 NAND 및 파운드리 장비 점유율 확대
테스: SK하이닉스 CapEx 확대, 삼성전자 파운드리 신규 진입 모멘텀 기대
오로스테크놀로지: SK하이닉스 CapEX 확대 수혜. 국내 신규 고객사로의 장비 공급 기대감 존재
5) 소재: NAND 투자 확대 및 3nm GAA 양산 수혜. Top picks: 티씨케이, 솔브레인, 오션브릿지
티씨케이: NAND 고단화로 인한 SiC Ring 사용량 확대. 2022년 NAND CapEx 상향 조정 수혜
솔브레인: NAND 고단화 및 고객사 투자확대. 3nm GAA용 신규 소재 공급 모멘텀
오션브릿지: SK하이닉스 DRAM 및 NAND 투자 확대 수혜. 최근 이차전지 장비 매출 비중 확대 중
6) 비메모리: 3nm GAA 양산 및 엑시노스 판매량 확대 수혜. Top picks: 리노공업, 네패스아크
리노공업: 4nm Mobile AP 양산 수혜. 3nm GAA 양산 시 테스트 소켓 시장 내 점유율 확대 예상
네패스아크: 엑시노스 수율 개선 및 판매 확대 수혜. 2022년 큰 폭의 실적 성장 전망
'산업분석 > 반도체,디스플레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반도체 밸류체인 (0) | 2022.01.24 |
---|---|
TECH, 1분기 어떤 일들이... (0) | 2022.01.13 |
[반도체] 반도체 산업 전망 (0) | 2021.11.17 |
[반도체] 4분기 디램 가격, 또 틀렸다 (0) | 2021.10.18 |
[반도체] 메모리 줍줍줍 or 줍줍줍 (0) | 2021.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