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분석

[GST] 산업공정 배출감소와 저탄소 연료사용을 추구하는 반도체 장비 제조 기업

허그베어 2021. 12. 12. 00:37

유해가스 정재 및 온도 조절용 스크러버, 칠러 제조능력 보유

주력 제품은 유해가스를 정제해 배출하는 스크러버와 온도를 안정적으로 조 절하는 칠러이며, 기술내재화를 통해 주문형 사양에 대응하고 있으며 기존 가스처리 방식의 스크러버 외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플라즈마 방식 제품, 대용량 및 고효율 제품을 개발,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산업 회복 및 정부 정책에 따른 대기오염물질 저감 장비 확대

탄소 중립 정책(산업공정 배출 감축, 저탄소 연, 원료 사용 등)과 빅테크 기 업들의 ESG 강화가 맞물리면서 스크러버 부문 동향이 기대되고 있으며, 특 히 환경 규제를 의식한 국내외 고객사들의 스크러버 장비 수요가 바뀔 수 있다.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기존 LNG를 이용한 BURN-WET 방식 대신 전기를 이용해 유해가스를 태우는 PLASMA-WET 방식의 스크러버 도입 가능성 때문이다.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는 친환경적이며 부산물 처리 비용을 획기적 으로 절감시키는 장점과 물 또는 연소 연료 등의 사용이 없이 전기만으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한 시스템 장치를 적용한 PLASMA-WET 방식의 스크 러버을 개발하였다.

 

회사 연혁 및 주요 종속 및 관계회사 현황

(주)글로벌스탠다드테크놀로지(GST, Global Standard Technology)(이하 ‘동사’)는 2001 년 10월 설립되었고, 2006년 2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으며,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등의 공 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제조하고 있다.

 

동사는 13개의 종속회사, 관계회사를 포함하는 계열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이에스티는 화 합물 및 화학제품, 반도체장비 및 부분품 등을 제조, 공급하고 있고, PT. EST International는 콜드 체인 시스템 생산 및 판매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주)로보케어는 로봇 제조 , 판매 및 관련 소프트웨어 개발을 진행하여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그 외 GST America. Inc를 포함한 7개 종속회사는 반도체 장비 및 부품관련 유지보수, 서비스업 등을 제공하며 해외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동사의 주요사업 및 제품

동사의 반도체, 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를 제조하고 있는데, 주력 제품은 유해가 스를 정제해 배출하는 스크러버(SCRUBBER)와 온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는 칠러(CHILLER) 이다. 동사는 스크러버를 2003년 국산화하였고 기술내재화를 통해 주문형 사양에 대응하고 있 으며 기존 가스처리 방식의 스크러버 외 시장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플라즈마 방식 제품, 대 용량 및 고효율 제품을 개발, 시장경쟁력을 강화하고 있고, 2020년 기준 제품별 매출액 비중은 Scrubber 37%, Chiller 38%, 용역(유지보수 등) 19%, 기타 6%이며, 주요 고객사는 삼성전자(주), YMTC(중국향), Micron 등이 있다

 

동사가 생산 중인 스크러버, 칠러 등 다양한 반도체 공정 부품이 모두 고른 성장을 보이고 있어 안정적인 실적 흐름을 이어가고 있어, 동사의 매출액은 2018년 1,299억 원, 2019년 1,682억 원, 2020년 1,669억 원, 2021년 2930억(예상)으로 증가세에 있고, 영업이익(영업이익률)은 2018년 104억 원 (8.01%), 2019년 219억 원(13.02%), 2020년 182억 원(10.88%)으로 2020년 영업이익은 제품 매출원가의 상승 등에 따라 전년대비 감소하였으나 2021년 3분기까지 이미 357억의 영업이익을 내고 있어 4분기 영업이익을 제외하고서도 전년대비 2배의 이익을 달성하였다. 

 

2022년 반도체 업황 호조에 따른 국내 반도체 투자 증가, 대만 마이크론향 등 신 규 납품처 추가에 기인한 것으로, 친환경 모멘텀 부각에 따라 유해물질을 정화하는 스크러버 장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어 향후 2022년 실적이 기대된다.

 

2021년 1분기 말 부채비율은 36.75%, 유동비율은 291.73%로 매입채무 및 당기 법인세부채 가 증가하였고, 매출채권 증가 등으로 부채비율, 유동비율이 변동을 보이고 있으나, 총자산은 2020년 말 대비 15.80%로 증가하였고, 357억 원의 현금성 자산과 357억 원의 매출채권을 보 유하고 있 동사의 재무구조는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최근 분기 매출 성장 및 이익 급증 그리고 양호한 현금흐름등 모든 지표가 2022년을 기대하게 한다. 

 

 

반응형

 

 

2050 탄소중립 비전에 따른 ESG 강화 기조 속 스크러버 재조명 기세

탄소중립 정책(산업공정 배출 감축, 저탄소 연, 원료 사용 등)과 빅테크 기업들의 ESG 강화가 맞물리면서 스크러버 부문 동향이 기대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 규제를 의식한 국내외 고객사들 의 스크러버 장비 수요가 바뀔 수 있다. 에칭 공정에 사용되는 기존 LNG를 이용한 BURN-WET 방식 대신 전기를 이용해 유해가스를 태우는 PLASMA-WET 방식의 스크러버 도입 가능성 때문이다.

동사도 기존 주요제품 반도체 가스 스크러버 장비와 칠러의 경우 소모품 특성상 꾸준한 수요가 발생하며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광 등 다양한 공정에 적용할 수 있으며, CVD(증착기술) 등 미세공정 확대에 따라 유해물질 처리 난이도가 상승하고 있으며, 스크러버 수요가 증가하고 있 다. 또한, 환경규제 강화 추세에 따라 고성능, 고효율 장비 수요가 증가하여 동사의 장비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대기오염물질 연소 기술, PLASMA-WET 방식 기술 개발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VOCs는 대기 중에서 휘발돼 악취나 오존을 발생시키는 탄화수소화합물을 지칭하는 용어로 벤 젠, 포름알데히드, 툴루엔, 자일렌, 에틸렌, 스틸렌, 아세트알데히드 등을 통칭하며, 주로 석유화 학, 정유, 도료 도장 공장의 제조와 저장과정, 자동차 배기가스, 페인트, 건축자재, 세탁시설 등 에서 발생하고 있다.

 

동사는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로터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촉매 산화 반응올 통해 VOCs가 제거 된 정화 가스를 냉각할 수 있는 장치를 구축한 모듈화 VOCs 제거 시스템 장치에 대하여 개발 하였으며, VOCs 가스가 유입되는 덕트 내에 송풍기를 설치하여 공간을 확보하고, 설비의 모듈 화 및 설비의 규모를 정밀화하는 흡착 로터, 산화촉매, 열교환기를 내부에 구축하였다.

 

동사가 개발한 시스템은 흡착 로터, 산화촉매, 열교환기를 결합하여 VOCs를 제거함으로써, 낮 은 초기 투자, 운전비용과 높은 VOCs 제거효율을 얻을 수 있고, 열교환기가 구비되어 로터로 부터 열을 회수하여 촉매 산화반응을 통해 VOCs가 제거된 정화 가스를 냉각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조립식 설비와 다르게 설비의 모듈화 및 설비의 규모를 축소화함으로써, 기존 건물 내, 외부의 부족한 설치 공간 문제와 운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을 보유하고 있다.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웨이퍼 상에 박막을 형 성하거나 또는 식각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종류의 반응 가스는 폭발성, 맹독성, 질식성으로 그대로 대기 중에 방출할 경우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지구 온난화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 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반도체 설비의 배기 라인에는 난분해성 유해가스를 안전하게 분해 제거 한 후 대기 중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가스정화장치인 스크러버가 설치되고 있다

 

동사는 이에 대한 효율적인 가스정화와 사용연료에 대한 절감 효과를 가진 스크러버를 개발하 였으며, 개발한 스크러버 내부 유해가스 처리 시스템은 분해가 어려운 과불화화합물을 함유하 는 유해가스를 플라즈마와 촉매를 이용한 분해반응을 제거하므로, 반응 효율이 높고, 발생되는 부산물을 고온의 필터를 이용하여 제거하므로, 기존 물을 사용하는 시스템에 비해 친환경적이 며 부산물 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시키는 장점과 물 또는 연소 연료 등의 사용이 없이 전 기만으로 시스템 운영이 가능하므로 초기 플랜트 설치비 및 인화성 물질 관리를 위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기업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치피오] 건기식 브랜드 회사  (0) 2021.12.16
[엠로] AI기반 기업용 공급망관리 SW 1위  (0) 2021.12.15
RF머트리얼즈  (0) 2021.12.10
테이팩스  (0) 2021.12.07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탐방노트  (1) 2021.1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