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탱커 2

선박과 운임지수 - 선박의 종류, 선박용어

1. 선박의 중요성 - 선박은 한 번에 12만 ~ 35만 톤 운송이 가능한 글로벌 무역의 핵심 운송수단으로 전체 선대에서 화물을 운송하는 상선 비중은 약 90%, 국내 조선사들은 상선을 주로 건조(‘22.5, Clarkson) ※ 선박을 이용한 물류는 전체 글로벌 무역의 85%, 우리나라 총 수출입 물동량의 99.7%(9억5500만톤)를 차지함 ※ 세계에서 가장 큰 화물 항공기 안토노프 AN-225는 한 번에 250 톤 운송 가능 2. 선박의 분류 - 선박을 용도에 따라 크게 상선(화물선, 컨테이너선, 탱커, 가스선)과 상선 外 선박으로 분류 - 선박 규모가 크고 고난이도 기술(LNG운반선의 극저온 기술 등)이 적용될수록 고부가가치 선박으로 분류되며, 최근 IMO(국제해사기구)의 대기환경 규제강화에 따라..

[조선] 효율성의 역습

[메리츠증권 김현] · 급격한 운임과 주가 변동 – 4대 선종의 동반 회복과 발주재개 기대는 무리, 변수는 탱커 · 단기 변곡점은 2Q22 – 1) 강재가격, 2) 탱커 회복 여부, 3) 컨테이너 운임 Peak-out여부, 4) 선가인상 가속화 · 2002~08년 제조업 분업화+세계화+무역 다원화 → Much Bigger and Faster 투자 집중 · COVID-19 후 운송수요 급증 Vs. 인프라 투자 정체→ 중국, 미국 항만의 정체 현상 심화 → 운임급등 · 가스 운송 인프라투자 지연, 초대형 발전소 건설과 송배전 → 가스수급 불안정, 발전 집중화에 따른 전력수급 어려움↑ · 조선 Best Scenario) 선가인상 지속+항만 투자+2Q 탱커운임 회복+폐선증가와 원가 안정+실적 턴어라운드 · 기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