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솔케미칼 3

반도체 소재 관련주 - 한솔케미칼/솔브레인/원익머트리얼즈

1.한솔케미칼 ​ 1분기 매출액 2,222억원(+25.5% YoY) 기록 고객사가 QD 디스플레이 가동을 본격화하는 구간에서 퀀텀닷 소재의 출하량이 좋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반도체 소재 사업은 무난하게 성장했다. 동남아 지역 코로나19 락다운의 영향으로 NB라텍스 매출은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2년 영업이익 2,230억원(+12.8% YoY) 전망 1) 반도체 소재 출하량의 견조한 성장, 2) QD 소재 매출 증가가 주된 성장 모멘텀일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부진했던 NB라텍스 매출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반기 원재료 부담을 판가 상승을 통해 해소하며 추가 업사이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반도체 소재업체들의 아웃퍼폼 기대 반도체 소재업체들은 최근 상대적으로 주가가 ..

기업분석 2022.05.27

2차전지 - 한국과 중국의 배터리 차별화

전방 전기차 시장은 중국이 더 강한데 1분기 전방시장인 전기차 시장은 견조했다. EV Volumes 집계에 따르면 중국은 1월 386천 대, 2월 298천 대로 전년 동월비 각각 116%, 173% 급등했다 반면, 한국 2차전지 업체들의 주요 수요지역인 유럽의 경우는 동 기간 159천 대, 166천 대로 각각 각각 37%, 39% 상승해 중국에 비해서는 성장률이 못 미쳤다 3월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공급망에 대한 문제가 겹치면서 유럽 일부 완성차 업체들은 생산 차질을 경험한 반면, 중국은 주요 대도시에서 코로나 발생에 따른 부분 또는 전면 봉쇄에 들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3월 중국 공신부가 발표한 전기차 판매량은 446천 대로 다시 월별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투자심리에 영..

[반도체] 한솔케미칼, 원익IPS, 테스, 케이씨텍

1. 한솔케미칼 1분기 실적은 낮아진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079억원, 영업이익 572억원으로 최근 낮아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한다. - 과산화수소 원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NB라텍스 역시 높은 유통재고로 인해 전방 수요가 낮아졌다 - 반면, QD 소재, 프리커서, 2차전지 소재 등 전자재료 매출이 꾸준히 증가해 1분기 실적은 전년대비 소폭 좋을 것으 로 기대한다. 올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 과산화수소 사업은 점진적으로 원가 상승분이 판가에 전가되어 수익성이 다시 회복할 것으로 판단한다 - 전자재료 사업이 캐쉬카우 역할을 해주면서 분기 영업이익 ..

기업분석 2022.04.0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