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흥국 대형주 중 EPS 변화율 상위에 LG화학(+1.2%), 삼성SDI(+0.9%), LG에너지솔루션(+0.9%), 삼성바이오로직스(+0.9%) 위치.
- 하위 종목에는 SK하이닉스 (-7.0%), 삼성전자 (-4.7%), NAVER(-2.4%) 위치. 선진국 하위에 금융 섹터 종목 다수 진입.
- 선진국에서는 캐나다가 양호했으나 영국이 부진. 미국은 최근 한 달간 EPS 정체. 신흥국은 중국이 선전했고 한국이 가장 부진
- 한국은 IT, 커뮤니케이션, 헬스케어, 소재가 1% 이상 하향. 개별 종목들은 본격적인 하향 조정 시작.
코스프에서는
1)
2분기 기준, 1개월 영업이익 예상치가 3개월 예상치보다 높은 종목 상위에 SK디앤디, 팬오션, 현대두산인프라코어, 에코프로비엠, LIG넥스원, LS ELECTRIC, 대한항공, 후성, 오리온, 풍산, 롯데쇼핑 진입.
낮은 종목 상위에 SK아이이테크놀로지, 에스티팜,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롯데케미칼, 현대건설, GS건설, 인탑스, DL이앤씨, 현대오토에버 진입.
2)
2분기 예상 영업이익 상단 돌파 종목(10개)은 LX인터내셔널, 이마트, S Oil, CJ프레시웨이,
하단 돌파(24개)는 에스티팜, 롯데하이마트, NH투자증권, 현대건설, 농심, 삼성증권, 한국금융지주, 미래에셋증권, DL이앤씨, 키움증권, 아모레퍼시픽 등.
3)
연간 예상 영업이익 상단 돌파 종목(10개)은 SK이노베이션, LG이노텍, 한국항공우주, 덕산네오룩스, 포스코인터내셔널, 하단 돌파(28개)는 DL이앤씨, 대우조선해양, 현대미포조선, 현대건설, 효성티앤씨, 두산퓨얼셀, 농심, SK하이닉스 등.
4) 최대 실적에 최고 주가가 기대되는 종목에 대웅제약, 리노공업, 대한제강, 삼성전기진입.
5) 진짜 모멘텀 보유 종목은 두산퓨얼셀 진입.
'투자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의 가이드가 되어주는 지표들 (0) | 2022.09.04 |
---|---|
언제 주식을 팔 것인가 (0) | 2022.07.07 |
산업별 핵심 지표(소재 에너지, 산업재, 소비재, IT) (0) | 2022.06.27 |
전략적 가치투자 전략 - 신진오 (0) | 2022.06.09 |
저변동성, 고배당, 가치지수 구성 종목 (0) | 2022.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