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업분석 119

[원자력] 원전 시장 참가자 & 원자력 발전소 비용 구조

1. 원전 시장 참가자 ​ 1) 구분 ​ - 정부 (Government) : 경제성과 안정성을 만족시키는 발전믹스를 선택한다. 발전믹스 조절하며 원전 비중을 조정한다 - 규제기관 (Regulator) : IAEA는 규제기관과 산업 진흥 기관을 분리해서 운영하도록 권고 - 원전 운영기관 (Owner/operator) : 원전 프로젝트 발주 및 운영의 주체 - 종합설계(Architect Engineering) : 생산설비 없이 순수한 종합설계 회사는 대규모 자본투자가 필요 없다 - 공급업체(Vendor) : 원자로, 증기발생기, 가압기 등 원전 주기기를 생산. - EPC (EPC contractor) : 리스크 분담을 위해서 3~4개의 EPC업체가 컨소시엄을 이뤄서 프로젝트에 참여 ​ ​ 2) 한국 ​ - ..

산업분석/기타 2022.08.26

[원자력] 원자로의 종류 & 발전소 구조

1. 핵분열 원리 ​ - 핵분열은 ‘무거운 원자핵이 가벼운 원자핵으로 분열되는 현상’ - 핵분열 과정에서 질량결손이 나타난다. 질량-에너지등가 법칙에 따라서 감소한 질량만큼 에너지가 발생 - 연쇄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면 핵폭탄, 안정적으로 운영하면 원자력발전으로 사용 2. 원자로 종류 ​ - 원자로는 냉각제, 감속제, 연료, 내부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종류로 나뉜다 - 전 세계에서 442기 원자로가 가동 중. 현재 주력으로 사용하고 있는 있는 PWR, BWR, PHWR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① 원전 관련한 다양한 종목이 언급되고 있음. 원전의 구조를 이해하면 어떤 부품이 사용되며, 진입장벽이 어디가 높은지 판단이 가능해짐 ② 또한 현재 사용하는 대형원전의 한계점을 이해하면 향후 SMR 기술개발..

산업분석/기타 2022.08.26

[디스플레이] 8.5세대OLED, 폴더블 관련주

1. AP시스템 : LTPS용 ELA, 봉지공정, Laser Lif Off장비/부품, OCR장비 - 시가총액(22.08.24종가기준) 2,735억 l 22년 예상실적 (매출액 5,031억, 영업이익 631억) - 안정적인 부품 매출(년간 2,000억)과 함께 폴더블 기기 성장과 삼성디스플레이 투자 모멘텀 재개 기대 - 삼성전자의 갤럭시Z 폴드와 플립4 신제품 판매계획 상향 조정 (850만대 → 1,000만대이상) - 삼성전자 2025년까지 폴드와 플립 2300만대까지 성장 전망(M/S 85%) - 삼성디스플레이 베트남 폴더블 후공정 Capa 증설은 지속 발생 중 - 하반기 삼성디스플레이 투자 본격화 시 동사 주가의 가파른 상승 예상 2. HB테크놀러지 : OLED 전공정 AOI 검사장비, 리페어 장비 제..

엔터테인먼트 - 하이브, 에스엠, YG, JYP

엔터업종 2Q22 호실적 발표 ​ 1) IP 매출 성장이 지속됐다. IP 매출이란 음반/음원/MD 등과 같이 재산권이 회사에 귀속되는 수익을 의미한다. JYP Ent.는 트와이스 나연의 솔로 앨범, 와이지엔터는 빅뱅의 음원 발매만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절대 매출 체력을 지켜냈다. 2Q22 신보 외 구보 IP도 팔렸고, 음원은 유튜브 및 중국 수익이 대거 반영됐다. 업황의 눈에 띄는 공통점은 전사 MD 매출이 무척 커졌다는 점이다 ​ 2) 수익성도 견조했다. 엔터업종의 매출원가는 콘텐츠 제작비, 아티스트 수익정산으로 구성된다. IP 매출의 특성상 투입되는 원가 대비 단가가 높고, 아티스트 수익배분 역시 회사에 자산이 귀속되는만큼 훨씬 더 우호적이기 때문이다 ​ 또한 IP 매출의 주체가 기존 주력 → 신인 아..

산업분석/기타 2022.08.20

전기차 배터리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

2050 탄소중립을 위해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산업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그린뉴딜 정책의 저탄소 에너지 확산기조에 따라 전기차 113만대, 수소차 20만대를 보급하는 등 친환경 자동차 사용을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대용량 리튬 이차전지의 핵심 희소금속 원료 수요가 급증할 전망이다. 배터리 산업의 지속가능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폐배터리로부터의 희소금속 회수 기술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1. 전처리과정 전처리 과정은 폐배터리를 BP나 금속분말형태의 중간원료로 만드는 과정을 의미하며, 크게 파쇄 전처리 공정과 고온용융 전처리 공정으로 나뉜다. 1) 파쇄 전처리 공정 배터리 팩 분리, 방전, 해체, 파쇄, 선별 공정을 통해 물리적으로 회수성분을 농축해서 BP(Black Powder or Ba..

IT부품 수요 및 관련주(기판, 카메라, 폴더블, DDR5)

1. 기저 부담 : 코로나 시기의 출하량 성장률 ​ IT 세트 수요(판매량)은 낙관적으로 보기만은 어렵다. 코로나 2년 동안의 높은 기저 때문이다. 대부분의 제품군에서 감소 동향이 명확하다. 스마트폰, TV, 태블릿의 역성장은 이미 21년 3분기부터 시작됐다. 노트북과 가전도 22년 상반기부터 Peak-out 동향이 뚜렷하다 ​ 현재, 주요 세트들의 2022년 감소율 전망치는 10% 내외다. 다운사이드가 확대될 가능성을 염두에 둬야 한다. 코로나 2년간 IT 소비가 급증했던 만큼 대형가전(백색, TV)들의 교체 주기도 길어질 것이다. 22년에 감소폭이 크지 않다면, 23년에도 역성장이 지속될 수 있다. ​ ​ 2. 스마트폰 부품 수요: 중국과 삼성에서는 턴어라운드? ​ 일부 스마트폰 밸류체인에서는 저점 ..

음식료 - 곡물가격 & 투자전략

​ ​ 천정부지로 치솟은 곡물 가격은 왜 이렇게 올랐을까? ​ 1. 기후: 기상 이변 → 작황 부진 → 곡물 가격 상승 ​ 곡물 가격은 경작이라는 특성상 기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곡물 작황에 영향을 주는 대표적인 현상은 엘니뇨와 라니냐다. 일반적으로 적도 부근 북반구에는 북동 무역풍, 남반구에는 남동 무역풍이 분다. 무역풍으로 인해 따뜻한 해수가 열대 서태평양으로 이동하고 해수면 온도가 올라가 온난습윤기후(강우량↑)를 형성하며, 열대 동태평양은 온수층이 얇아지고 차가운 해수면이 드러나면서 한랭습윤기후를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정상 상태에서 벗어나 라니냐, 엘니뇨가 발생하면 이상 기후 현상으로 인해 주요 곡물 생산국가에서 생산 차질이 발생하며, 곡물 가격 상승 압력으 작용한다 ​ 엘니뇨 중앙태평양..

반도체 장비 2022 2분기 실적 리뷰

장비주의 단기 주가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판단된다. 1) 생산업체(삼성전자, SK하이닉스)의 컨센서스와 주가 조정이 여전히 진행 중이고, 2) 불확실한 업황 대비 장비주 컨센서스 조정은 아직 뚜렷하게 진행되지 않았다. 현재 반도체 섹터 전반의 동일한 주가 방향성을 고려할 때, 장비주의 뚜렷한 주가 반등은 생산업체들의 주가 조정이 마무리되는 시점 이후일 가능성이 높다. 22년 장비주 실적 관점에서 중요한 시점은 3분기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P3 NAND 30K 투자는 3분기 내 마무리될 예정이다. 결국 P3 DRAM과 파운드리 장비입고 및 매출인식이 반영될 3분기말과 4분기 실적에서 국내 장비사들간의 실적 흐름이 차별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1. 주성엔지니어링 - 2분기 매출액 1,117억원(+54%..

에너지 안보와 각국의 셈법

미국 : 고유가가가장먼저해결하고싶은문제 ​ 1. 에너지순수출국인 미국에게 높은 에너지가격이 불편한 이유는 인플레이션때문 천연가스 수출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은 긍정적. 문제는 고유가가 유발하는 인플레이션압력- 중간선거를 앞두고 미국당국입장에서는 지지율 및 경기침체방어를 위해 인플레 안정화가 필수적 2. 현재로서는 미국이 스스로 높은 유가를 해결할수없는 상황 현재 미국 원유생산량을 1,200만b/d로 COVID 이전대비 100만b/d 낮으나 설비는 100% 가동중 따라서 추가증산 여력이있는 OPEC 국가들의 증산이 필요 ​ ​ 미국 : 낮은원유재고, 정제시설 부족이 가격압력을 키우고 있음 ​ 1. 유가안정을 위한 전락비축유 방출이 이어지면서 원유재고는 계속 감소중 2021년 6.4억배럴에 달하던 전략비축유는..

산업분석/기타 2022.07.13

3분기 IT 산업전망 TIME LINE

1. SK하이닉스와 삼성디스플레이 투자재개 • SK하이닉스: 중장기 메모리증설목적으로 청주와 용인 투자결정 - 청주(M17)착공은2H23, 설비입고는2025~2027년, 용인은2028년이후설비입고전망 • 삼성디스플레이: ITPanel향8세대OLED와 TV향8세대 QD-OLED 투자전망 - 각각투자규모는월3만장 규모로 추정. 투자는3Q22, 가동은4Q23 이후로 예상 2. 대만, 산업용전기요금인상. TSMC 등주요Foundry 업체원가상승 • 대만전력, 7월부터고압및초고압전기요금15% 인상 • TSMC도RE100과전기세부담, 지진등 지정학적Risk를 반영해서 해외투자비중을 늘일계획 1. Display panel 업계Fab 가동률하락 • 6월LCD Panel 가격은Cash cost 수준하회. 7월이후중국Pa..

반도체 장비주 업황

수요 둔화 우려 직격탄, 단기 주가 조정 - 매크로 우려에 따른 시장 전반의 주가 조정 속에서 IT장비주의 주가 역시 큰 폭 하락했다. - 수요 둔화 구간에서 생산업체들의 전략적 행동은 공급 조절(장비 투자축소)이라는 점이 최근 단기 주가 조정의 가장 큰 배경이다. - 그러나 아직 수요 둔화에 따른 하반기 장비 투자 축소 동향은 크게 확인되지 않는다. - 중장기적 관점에서 공정 기술 난이도 증가에 따른 장비사의 구조적 성장 그림은 변함 없다. 외산장비 리드타임 증가 지속 등에 따른 장비 입고 지연 가능성 우려 - 외산장비 리드타임은 13~15개월(21.07)에서 18~30개월(22.06)까지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 현 상황을 감안시 단기 급격한 회복세를 기대하기 어렵다 - 외산장비 입고 지연은 전체..

반도체 산업, IT 수요부진

지속되는 공급망 차질 중국 봉쇄 정책 러 우 전쟁에 글로벌 인플레이션까지 더해지며 I T 전방 수요 에 대한 기대감은 낮아졌고 이는 반도체 섹터 주가 하락으로 이어졌음. 오히려 낮아진 수요 눈높이에서 일부 스마트폰 수요 반등이 감지될 경우 재고 재확충 수요가 발현될 가능성과 낮아지는 공급 증가율에 대한 눈높이에 무게를 두어야 함 . 1) 반도체 장비 리드타임 증가 , 2) 메모리 공급 사들의 수익성 위주 전략을 감안 시 Capital intensity 감소가 발현될 것 으로 전망 함. IT 수요 ① 스마트폰 기존 전망 14.1 억대 (+3.8% YOY) --> 수정 전망 13.3 억대 (-2.3% YOY) ② PC 기존 전망 3.55 억대 (+1.7% YOY) --> 수정 전망 3.36 억대 (-4.0%..

우주산업 그리고 한국의 우주 산업

우주산업 시장전망 ​ 우주산업은 발사체, 인공위성, 지상국 등 하드웨어 인프라와 항법장비등의 제품, 위성서비스 및 소프트웨어가 어우러진 막대한 부가가치를 지닌산업 현재까지 총 6,000여기 발사체와 12,000여대 인공위성이 성공적으로 발사 완료되었으며, 인공위성 운용 국가는 80여개국 2020년 글로벌 우주산업 규모는 4,470억 달러 수준. 코로나19 이후 재택 증가 및 비대면 근무 확대에 따른 통신위성 수요가 시장 성장을 견인 2040년 글로벌 우주산업은 1.1조 달러 규모로 성장이 예상 ​ ​ 주요 로켓별 kg당 발사비용 ​ 저궤도 위성의 경우 원활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선 최소 500여개의 소형 군집위성이 필요 지속적인 발사가 필수이며, 저궤도 위성의 성공요인은 결국 비용문제로 귀결 될 수밖에 없..

산업분석/기타 2022.06.16

주가 하락 시 주목해야 할 IT 부품주

Bottom up IT 하드웨어 전략 폴더블 DDR5, MR, 제품 다각화 ​ ① 폴더블: 출하량 성장률 차별화 방향성이 가장 명확한 IT 모멘텀이다. 올해까지는 삼성전자의 독주가 부각되는 시기다. 2023년부터는 중화권과 글로벌 제조사들의 판매 확대가 예상된다. 또한 앞으로는 슬라이더블, 투폴디드, 대면적 제품 등 폴더블 애플리케이션의 다변화도 예상된다. 성장이 뚜렷한 산업이다. ​ ② DDR5: 공급단가 인상 30~55% DDR5로 인한 부품의 공급단가 상승률을 약 20~30%로 기대했었다. DDR4에서 약 20% 상승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실제 공급단가 상승은 기 대치를 대폭 상회한다. 2022년을 기점으로 4년간 지속될 실적 모멘텀이다. 3분기에는 서버용 DDR5 부품 공급이 시작된다. 관련 부품..

자동차, 자동차부품 2022 하반기 전망

전기차 시대, 현대차그룹의 전략 변화: 양적 성장이 아닌, ASP 상승과 비즈니스 모델 변화 추진. ​ (1) 전기차, 달리는 전자 제품: 전기차는 1)내연기관차 대비 부품 수가 30%~50% 축소된다는 점과, 2) 중앙집중식 제어 장치로 구동되는 전자 제품이라는 특성을 갖추고 있음. (2) 전기차 시대, 완성차 유리 vs 부품사 불리: 전기차의 시대에는 1) 전체 Value Chain 간소화 및 완성차의 권한 확대, 2) 차량 아키텍처의 제어권을 완성차가 보유, 3) 차량 관련 데이터도 완성차 소유. 이 점에서 부품사의 부가가치 축소 불가피. 향후 완성차가 부품사 대비 Valuation 프리미엄을 받을 것으로 예상. (3) 현대차/기아, 향후 5년간 판매 성장률 CAGR 5.7%: 현대차/기아 합산 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