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분석 47

[아세아제지] 1)수요>공급 2)가격인상 3)실적증가 및 Re-rating

[리딩투자 - 유성만] 투자포인트 1.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 but 공급 부족은 지속되는 상황 COVID-19 이후로, 비대면 음식배달(예: 배민, 쿠팡이츠 등)과 온라인 배송의 증가로 골판지 상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또한 공급측면에서는 작년 10 월 대양제지 안산공장 화재로 국내 전체 생산 CAPA 의 약 7% 하급지가 감소하여 전반적으로 공급 Shortage 가 지속되고 있다. 위와 같은 수요 증가&공급 부족현상은 내년까지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골판지 원지와 상자 판매는 호황국면이 계속될 것이다. 2. 9 월부터 가격인상&원자재 가격 전가가능 올해 9 월달부터 기존 대비 약 10~13%정도 가격인상분이 실적에 반영된다. 작년 말부터..

기업분석 2021.09.07

[CJ프레시웨이] 내년을 예상하면 가슴이 떨린다

[한화투자 남성현] 2Q21 Review : 기대치를 크게 상회 CJ프레시웨이 2분기 실적은 당사 추정치를 상회. 매출액은 5,757억 원(전년동기대비 -7.8%), 영업이익 191억 원(전년동기대비 +603.7%)를 달성. 지난해와 비교할 때 기부금 회계기준 변경, 성과율 조정을 감안하면 실질적인 영업이익은 251억 원. 당사 추정치가 매출액 5,962억 원, 영업이익 122억 원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추정치를 +56.6% 상회 식자재유통: 매출액 4,353억 원(전년동기대비 -12.4%) 기록. 사회적거리두기 완화에 따른 전방산업 일부 회복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개선되는 실적을 달성. 외식/급식 경로는 2,496억 원으로 YoY +21.5% 성장성장. 거래처 수는 RS가 -65.8%, FC가 -1.9%..

기업분석 2021.08.12

[테이팩스] 친환경 산업과 같이 하는 성장

· 접착소재 전문업체이며, 원통형 2 차전지 소재는 고객사 내 M/S 가 높은 편 · 전자재료 부문에서 2차전지 매출 비중이 증가하면서 이익률도 개선 중 · 최근 테슬라의 셀 외주생산 물량 확대 의지도 테이팩스의 LGES 향 실적 기대를 높여 · 2H21 친환경 상품 라인업이 확대되며 소비재 내 매출 비중 증가 예상 · 2차전지에 이어서 친환경 라인업도 중장기적인 실적 성장이 가능할 것 접착소재 전문업체 테이팩스는 전자제품과 소비재에 사용되는 접착소재 생산 전문업체이다. 전자재료 부문은 2차전지용 소재, 휴대폰 OLED 디스플레이 접착용 OCA(Optically Clear Adhesive), 기타 테이프(저반사(AR) 필름, 반도체 보호용 소재 등)로 구분된다. 소비재 부문은 자체생산 중인 유니랩과 상품..

기업분석 2021.08.10

[엑시콘] 하반기부터 실적 증가, 2022년을 기대한다

2Q21 Review: 매출액 +334.8%yoy, 영업이익 흑자전환 yoy. 시장 기대치 상회 전일(8/4) 발표한 2 분기 잠정실적(연결기준)은 매출액 138 억원, 영업이익 4 억원을 달성함. 전년동기대비 매출액은 344.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하였음. 시장 컨센서스(매출액 140억원, 영업이익 9억원) 대비 소폭 하회함. 매출액 성장 요인은 ① COVID-19 상황으로 인한 지난해 2분기 저조한 실적(매출액 31억원, 영업손실 41억원) 대비 기저효과. ② SSD테스터기 매출이 본격화되면서 지난해 2분기 3억원에서 올해 2 분기 약 60 억원대로 크게 증가했고, 메모리 테스터 금액도 지난해 2 분기 28억원에서 올해 2 분기 70 억원대로 크게 증가하였기 때문. 영업외이익이 크..

기업분석 2021.08.10

[주성엔지니어링] 해가뜬다

[신한금융 고영민] 21년은 20년의 부진한 실적을 벗어나 주력인 반도체/디스플레이향 매출 회복이 전망된다. 하반기부터 여타 장비업체들과 차별화된 태양광 모멘텀이 확보되면서 상대적 주가 매력도가 부각될 것으로 기대된다. 투자포인트: ① 독보적 기술력, ② 고객사 확대, ③ 태양광 재개 ① 독보적 기술력 : 증착공정, 특히 ALD 관련 독보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를 구현한 장비가 SDP(Space Divided Plasma, 반도체), TSD(Time Space Divided, 디스플레이), HJT(Heterojunction, 태양광)이다. 각 분야에서 글로벌 유일한 장비다. 차세대 핵심공정을 위해 개발한 반도체용 TSD는 고객사의 양산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② 고객사 확대: 글로벌 고객사 확대가..

기업분석 2021.08.05

[제이브이엠] 변화가 느껴진다.

[IBK투자 이건재] 경쟁사가 없는 약재 자동화 기업 제이브이엠은1977년 수동 약 포장기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 병원 약국용 자동화기기인 ATDPS( 약품조와 INTIPharm( 약품관리 을 개발 공급하고 있다 21년 상반기 기준 매출 58.7% 는 국내에서 41.3% 는 수출을 통해 발생하고 있어 내수와 해외시장 어느 한곳에 치우치지 않은 균형 잡힌 매출 구 조를 보유중이다 동사의 주된 해외 매출은 북미와 유럽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북미시장의 경우 LTC( Long Term Care) 시장에서의 MS 확대와 온라인 약국 서비스 확대에 따른 수혜가 예상되는 반면 유럽지역은 공장형 조제약국 의 기기 교체 수요와 영업조직 구조조정에 따른 비용 효율화에 따른 이익 정상화가 나타나고 있는 중이다 강도는 약했지..

기업분석 2021.08.05

[덴티움] 임플란트 해외 수출 호조로 실적 호전

[IBK투자증권 이민희] 국내와 중국 시장 2위의 임플란트 및 의료기기 전문 업체 동사는 2019년 3월 광교 신사옥 완공 후, 사업장 통합을 통하여 연 매출 4천억원 규모의 생산 Capa를 갖추고 있다. 또한 해외 Network로 20개 판매법인, 3개 제조법인 (켈리포니아, 상해, 다낭), 3개 Milling Center를 보유하고 있다. 해외 진출에 있어 동사는 선진국 보다는 성장잠재력이 높은 중국, 러시아 등 신흥국 진출에 집중하였다. 특히 중국 시장 선점에 성공하여 현재 시장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외국 기업으로는 최초로 중국 내 임플란트 제조 인허가 및 자체 개발 CT장비 판매 승인을 취득한 바 있다. 작년 지역별 매출 비중은 중국 49.5%, 한국 26.7%, 러시아 7.5%, 기타 ..

기업분석 2021.08.04

[SNT모티브] 2Q 하회. 아쉬운 친환경차 모터의 역성장

[하나금융 송선재] 목표주가 하향 2분기 실적은 차량용 반도체 공급부족에 따른 고객사들의 생산차질 여파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단순 실적하 회보다 아쉬운 것은 친환경차 모터 부문의 역성장이다. 고객사의 친환경차 생산이 증가했음에도 SNT모티브의 모터 매출액이 감소하면서 기존 납품 모델 위주로는 성장동력 약화의 우려를 만들고 있다. 주가가 박스권을 벗어나 상승추세로 복귀하기 위해서는 납품 모델들의 생산 정상화 및 추가 성장이 확인되거나, 주 고객사의 플랫폼향 혹은 타 전기차 업체들로 부터의 신규 수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2Q21 Review: 영업이익률 9.7% 기록 SNT모티브의 2분기 실적은 영업이익 기준으로 시장 기대치를 하회했다. (영업이익 -11%). 매출액/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기업분석 2021.08.04

[피엔티] 이차전지, 첨단소재 자동화장비

기업개요 2003년 12월에 설립된 기업으로 이차 전지의 원천 소재인 양극, 음극재 및 분리막 제조장비와 플렉시블 집적 회로, 적층세라믹콘덴서, 광학시트 등 전자 소재 및 디스플레이, 동박, 기타 산업소재 제조장비와 기타 자동화 설비의 제작, 판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3년 7월 6일자로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중견기업이며, 자회사인 (주)나노기술, 섬서인과기계설비(유), People & Technology HUNGARY Kft. 등을 종속회사로 편입시켰다. 주요제품 및 사업분야 기계제작 관련 18년 노하우를 바탕으로 연속 공정 설비인 롤투롤 장비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는데, 세부 사업분야 별 제품은 이차 전지의 양극, 음극재 및 분리막 제조장비, LCD, LED 등 첨단소재 부품 제조장비, 웨이퍼..

기업분석 2021.08.03

[원티드랩] 일 잘하는 애들의커리어 플랫폼(상장예정기업)

원티드랩 공모가 3만5000원 확정...2~3일 청약 [파이낸셜뉴스] 인공지능(AI) 기반 채용 플랫폼 '원티드' 운영사 원티드랩은 최종 공모가를 희망 밴드 상단인 3만5000원에 확정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이날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원티드랩은 지난 www.fnnews.com 수요예측 결과 원티드랩은 참여 기관의 약 99%가 희망 밴드(2만8000원~3만5000원) 상단 이상으로 공모가를 적어냈다고 밝혔다. 이에 회사는 "시장 친화적 공모가 결정을 위해 상단인 3만5000원으로 확정했다"고 설명했다. 이를 통해 회사는 총 256억원을 조달할 방침이다. 회사는 상장 후 공모 금액을 사업영역 확장을 위한 인수합병(M&A)과 신사업 및 해외사업 개발, 연구개발(R&D) 인재 확보 등에 사용할 예정이다. 원티..

기업분석 2021.08.01

[LG이노텍] 리포트 이것저것

[삼성증권 이종욱] 아직 시작도 안 했다. 투자 전략 ROE 로 사상 최대 수익성이 예상됨에도 불구하고 지난 10 년 평균 P/B 1.5 배 밸류에이션을 넘지 못하는 이유는 , 아마도 ROE 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심 때문일 것이다 . 그러나 우리는 네 가지 이유로 할인이 해소될 것이라 생각한다. ① 미주 거래선의 Peak out 을 우려하지만 , 출하량 성장이 2022 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 특히 중저가 (22년) , 폴더블 (23년) 에 주목 ② 카메라 납품 구조 변경으로 대당 매출의 하락을 걱정하지만, 카메라 사양 업그레이드로 추가적인 컨텐츠 성장 기 대 ③ 21년 영업이익은 성수기 3개 분기가 만들어낸 일시적인 이익으로 역성장 우려하지만, 2022 년 이후에도 연간 1조원의 이익이 새로운 ..

기업분석 2021.08.01

[레이언스] 다시 성장하는 디텍터

[이베스트 정홍식] 기업개요: X-ray 디텍터 생산 레이언스는 디지털 X-Ray 시스템에서 핵심 부품인 Detector(X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검출하는 역할)를 생산하는 기업이다. 매출비중은 TFT Detector(대면적 유리, 내구성↑, 제품수명↑, 면적당 원가 저렴) 37.4%, CMOS Detector(고해상도, 동영 상 구현 가능, 주로 치과용으로 사용) 34.0%, I/O Sensor(CMOS 기술을 이용한 치과 구강센서) 22.3%이며 전방산업 비중은 Medical 31.1%, Dental 48.9%, Industrial 6.5%, VET 13.1% 수준이다. 참고로 관계사인 바텍으로의 디텍터 공급 비중(매출액 대비)은 44.9%(1Q21 기준) 수준이다. 투자포인트 첫째, 산업용 디..

기업분석 2021.07.28

중소형주 종목동향 및 시장상황

[이베스트 정홍식, 조은애] 삼영전자 동사의 영업이익이 2Q21 기대치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기대됨. 당사의 2분기 실적 추정치는 보수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지만, 국내 전해콘덴서의 공급 상황을 고려하였을 때 기대치 이상으로 수익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됨. 참고로 2020년 연간 별도기준(한국 공장, 중국 제외) 영업이익이 50억원인데, 이번 2Q21 별도기준 영업이익이 이를 상회할 것으로 기대됨. 또한 3분기 현재 전해콘덴서 공급상황이 매우 좋아, 3Q21 영업이익도 당사의 전망치를 상회할 것으로 보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주가수준은 순현금 = 시가총액으로 절대 저평가를 보이고 있음 동국제약 동사의 2Q21 영업이익은 일회성 광고비 등의 요인으로 YOY 성장이 미미할 것으로 보임. 이를 반영하..

기업분석 2021.07.27

[피에스케이] 지금은이거야 이거

[DB금융투자 어규진] 2분기도 최대 실적 전망 피에스케이의 2021 년 2 분기 실적은 매출액 1,120 억원 72.5 %, YoY/ +17.3 %, QoQ), 영업이익 308 억원 290 %, YoY/ 2 3 8 %%, QoQ/ OPM 2 7 .5 으로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할 전망이다. 1분기에 이어서 삼성전자향 국내 및 시안 PR Strip 장비 공급이 지속되는 가운데 , 중화권 및 미국 등 해외 고객향 메모리 및 Logic 반도체 장비 주문이 꾸준하기 때문이다. 과거 신규 데모 장비 입고 시 연구개발 비용 등 판관비가 증가하며 수익성 흔들림이 컸었던 부분도 단계적으 로 양산에 가까워지며 1 분기 이후 안정적인 고수익성이 유지 될 전망이다. 이제는 또 비메모리 동사의 기존 PR Strip 및 Dr..

기업분석 2021.07.26

[덴티움] 견조한 실적과 부담 없는 주가

[NH투자 나관준] 덴티움은 2000년 설립된 임플란트 제조 및 판매 기업. 국내 유일의 15년 이상의 장기 임상데이터를 다수 보유하고 있는 기업으로 국내 최초로 SLA 표면처리 기술개발 완료. 주력 제품인 치과용 임플란트부터 치과용 디지털 장비까지 사업 다 각화를 추진 중. 2020년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 임플란트 83.2%, Digital Dentistry 7.5%, Regeneration 4.8%, 기타 4.5%로 구성. 2020년 기준 중국 매출 비중 49.5%로 국내 임플란트 업체 중 중국 매출 비중 가장 높은 업체. 내수 회복 및 신흥국 중심 수출 고성장세로 견조한 실적 전망. 국내 여타 임플란트 업체 대비 밸류에이션 매력도 높은 상황 중국 중심 수출 성장세 여전히 유효 관세청 수출입통관 기..

기업분석 2021.07.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