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기업분석 47

에스에프에이

1. 기업 개요 동사는 1998년 12월 18일 삼성항공(한화에어로스페이스)의 자동화 사업부가 분사되면서 설립된 기업으로 스마트팩토리솔루션(NEO) 기반으로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고객사가 요구하는 장비를 제작·납품하여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이내 클린물류설비, 공정장비, 모듈장비 등 디스플레이 산업에 필요한 장비들을 다각화하여 턴키(Turn-key) 수주가 가능한 업체로 성장하였습니다. 최근 디스플레이 업황에 투자가 계속 지연됨에 따라 동사는 특유의 스마트솔루션 시스템 기술을 기반으로 수년 전부터 이차전지 관련 장비 개발을 착수하여 약 7~8분이 소요되는 배터리 셀 검사장비를 3.5초(AI외관 검사장비), 4초(In-Line 3D CT 비파괴 검사장비)대로 경쟁사 대비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한 검사장비 개발..

기업분석 2022.08.08

로봇(모터, 감속기) 관련 기업

1. 에스피지 - 1991년 설립, 2002년 코스닥 상장한 정밀 제어용 모터·감속기 부품 업체. 반도체, LCD 등 산업용(자동화 설비 및 장비 제어) 뿐 아니라 의료 및 가전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모터와 감속기를 판매 - 해외 매출 비중 76% - 1Q22 기준 지역별 매출 비중은 중국 39.8%, 미국 26.0%, 국내 24.0%, 유럽 5.9%, 일본 기타 4.2%로 구성. - 관계기업으로 음식물처리기 업체 ㈜스마트카라 지분 29.52% 보유 - 해외 매출도 31.1%(yoy) 성장함. 지역별로 고른 성장세가 나타난 가운데, 특히 중국 매출이 OTR(오버더레인지) 모터 수출 증가 등으로 31.0%(yoy) 증가함. - 미국과 중국향 BLDC, 유성감속기등 고마진 제품 판매가 늘고 판가..

기업분석 2022.07.09

인텔리안테크 - 해상용 & 저궤도위성용 안테나의 성장

인텔리안테크는 해상용 안테나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위성통신용 VSAT 안테나, FBB 안테나,위성방송 수신안테나, 저궤도 위성통신용 안테나, 게이트웨이 등 다양한 제품군을 확보하고 있다 주요 고객사로는 Inmarsat, Marlink, OneWeb, SES, Iridium 등 위성통신사를 비롯해 Maersk, Carnival 등 대형 해운사와 크루즈 선사를 보유하고 있다 해상용 VSAT 안테나의 지속적인 성장과 리오프닝에 따른 크루즈선사향 공급 증가, 경쟁사의 공급 차질 이슈에 따른 반사 수혜 등으로 큰 폭의 실적 성장이 나타났다. 1) 하반기 원웹향 매출 본격 발생 여부에 주목한다. 인텔리안테크는 글로벌 저궤도 위성통신 사업자인 원웹 (Oneweb)의 터미널 안테나 단독 공급자로 2021년 3분기부터 ..

기업분석 2022.06.20

반도체장비 관련주 - 주성엔지니어링/피에스케이/에스티아이

1.주성엔지니어링 ​ 1분기 리뷰: 착실하게 계획 이행 중 주요 매출처는 M16, M14, C2F, 중화권 등이다. 해외 매출 비중은 약 60%로 추정된다. 수주 역시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1분기말 수주잔고는 전분기말(2,586억원) 대비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시장의 우려와 달리 중국 봉쇄령에 따른 장비 입고 차질 등은 미미했다 ​ 22년 전망: 가파른 수주 증가 지속 & 장비 제작 차질 이상 무 22년 매출액 4,766억원(+26%), 영업이익 1,373억원(+34%)을 전망한다. 매분기 수주잔고 증가세와 함께 사상 최대실적 경신이 유력하다 국내외 수주는 여전히 공격적이다. High-K 캐패시터 공정에서의 독보적 기술력(경쟁력)을 기반으로 SK하이닉스 내 M/S 증가 및 해외 고객사 ..

기업분석 2022.06.02

종목 코멘트(SK이노베이션, SKC, POSCO, GS건설, 대상등)

1. SK이노베이션 - 2분기 외형은 1분기대비 증가하지만,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할 전망. 현 수준의 국제유가가 2분기에도 지속될 전망. 정제마진은 Diesel 및 LSFO/HSFO (선박유)가격 강세를 통해 1분기 수준 이상으로 예상 - 배터리사업 외형은 전분기대비 10%이상 성장할 전망. 신규 공장 상업 가동에 따른 판매량 확대와 원재료 상승을 통한 ASP 인상이 동시에 이루어질 전망. 2. SKC - 동박사업의 경우 6공장 상업화에 따른 판매물량 증가를 통해 1분기대비 외형과 영업이익 모두 증가할 전망. - 화학사업 영업이익은 중국 봉쇄조치에 따른 물류비용상승으로 1분기대비 소폭 감소할 전망 - 1분기 실적발표 컨콜을 통해 미래 성장 아이템들이 잘 준비되고 있음을 확인. 반도체용 글래스 기판 및 실..

기업분석 2022.06.02

반도체 부품 관련주 - 하나머티리얼즈/티에스이/원익QnC/ISC

1. 하나머티리얼즈 ​ 하반기도 이어질 성장 스토리 2022년도 계단식 성장이 기대된다. 2022년 2Q 250억원, 3Q 272억원, 4Q 296억원을 추정했다. 1) Cathode, Ring 등 주요 제품군 수요 확대, 2) SiC 등의 Quality 제품 판매 확대가 실적 성장의 이유다 주요 장비 업체의 부품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신제품인 하이브리드링의 하반기 판매도 기대된다 원재료 가격 상승에 중장기적 P(가격)의 상승을 기대해 볼 만하다. ​ 1) 고객사 확대, 2) 제품 다변화로 계단식 성장 가능 과거 소모품 업체들은 국내 고객사의 투자 Cycle에 따른 실적 변동성이 높았다. 앞으로는 기술 개발 및 설비 확대로 꾸준한 실적 성장이 가능한 업체로 발돋움할 전망이다 1)제품 포트폴리오 확대에 ..

기업분석 2022.05.30

삼성전기 MLCC, 스마트폰 업황

삼성전기, MLCC·카메라모듈 '전장' 비중 확대 초점 전기차와 자율주행 등 차세대 차량들이 늘어나면서 전장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전장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삼성전기의 실적 성장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biz.newdaily.co.kr 전기차와 자율주행 등 차세대 차량들이 늘어나면서 전장 시장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전장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삼고 있는 삼성전기의 실적 성장 기대감도 높아지고 있다. 스마트폰 등 IT 산업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가운데 전장 비중 확대를 통해 매출 다변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 자동차는 공간이 넓어 IT 제품 대비 MLCC 소요량과 적용 면적의 차이가 크다.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MLCC가 800~1200개인 반..

기업분석 2022.05.28

반도체 소재 관련주 - 한솔케미칼/솔브레인/원익머트리얼즈

1.한솔케미칼 ​ 1분기 매출액 2,222억원(+25.5% YoY) 기록 고객사가 QD 디스플레이 가동을 본격화하는 구간에서 퀀텀닷 소재의 출하량이 좋았던 것으로 파악된다 반도체 소재 사업은 무난하게 성장했다. 동남아 지역 코로나19 락다운의 영향으로 NB라텍스 매출은 부진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 22년 영업이익 2,230억원(+12.8% YoY) 전망 1) 반도체 소재 출하량의 견조한 성장, 2) QD 소재 매출 증가가 주된 성장 모멘텀일 것으로 예상된다 1분기 부진했던 NB라텍스 매출도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반기 원재료 부담을 판가 상승을 통해 해소하며 추가 업사이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 반도체 소재업체들의 아웃퍼폼 기대 반도체 소재업체들은 최근 상대적으로 주가가 ..

기업분석 2022.05.27

태광 분석 및 2022 1분기 실적 리뷰

태광의 주가 흐름을 보면 유가의 움직임과 매우 유사함을 볼 수 있다. 각 시기별로 간단하게 보면 ​ 1번 시기 - 유가상승으로 인한 조선업, 해외플랜트 호황시기이며 석유화학, 반도체, LCD산업의 설비증설이 많은 시기 - 중동지역의 플랜트 시설의 증설 및 개보수가 크게 증가 ​ 2번 시기 - 금융위기로 인한 유가 하락 그리고 조선업황 둔화 ​ 3번 시기 - 국내 건설사의 해외 수주 부진(일본, 유럽의 업체들이 수주) - 셰일가스 영향으로 유가하락, 플랜트 업황 둔화 ​ 현재는 ESG영향과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중동국가들의 증산 거부 등으로 유가가 100달러 이상이고 LNG관련시설 및 FSRU, 플랜트등의 시설투자가 다시 논의 되고 있는 시점이다. 이전과 같은 대세상승은 어렵겠지만 플랜트업체에 기회가 ..

기업분석 2022.05.25

[태광] 사업보고서 읽기(with HYTC)

1. 태광이 영위하는 산업의 특성 - 각종 배관자재, 관, 이음쇠류 제조 판매업 - 플랜트설계, 제작, 시공업 - 기계제작판매 및 설치업 - 각호에 관련되는 부대사업일체으로 ​ 동사는 1982년 8월 관 이음쇠류 개발 및 제조사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설립되어 1994년 9월 한국거래소 코스닥 시장에 상장된 주권상장법인이다 ​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을 보면 시장구조면에서 설비업체의 의뢰를 받아 생산이 이루어지는 수주산업으로 정확한 수요예측이 어려우며, 제품의 품질과 더불어 납기가 아주 중요한 산업입니다. 각종 배관자재, 관이음쇠류 제조업 분야는 석유화학, 정유, 발전, 담수, 조선, 해양구조물 등의 설비투자 비중이 업계의 생산 및 매출의 규모에 가장 큰 변동사항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조선해양 부문..

기업분석 2022.05.19

[하이록코리아] 유가 강세로 전방수요산업 수혜 본격화

국내 계측장비용 피팅 및 밸브 전문 대표 기자재업체 동사는 1977년 설립된 계장용 피팅 및 밸브 전문 기자재업체로 주요 전방산업은 석유화학, 조선해양, 반도체, 플랜트, 원전, 군수, 우주항공 등 유체 컨트롤이 필요한 산업에 다방면으로 판매되며, 수요산업의 60% 이상이 국제유가에 따라 변동되는 산업군이다. ​ 1970년대 이전까지는 대부분의 피팅 및 밸브 등이 수입에 의존했으나 1970년대 후반 동사가 국내 최초로 국산화에 성공하면서 수입산을 대체하기 시작하였다. 동사는 세계적으로 인지도가 높은 기업에 국내 최다 공급자 승인을 확보하고 있으며 내수 및 수출비중은 각각 54%와 46%차지하고 있다. ​ 제품의 특성상 품질에 대한 신뢰도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오랜 기술 노하우와 납품 이력 등 진입장벽이..

기업분석 2022.05.16

현대건설기계 - 중국 이슈

[삼성증권 한영수] - 수요문제는 극복 , 조달의 문제를 해결할 때(22.04.29) 목표주가 47,000원으로 하향 ​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3% 성장. 중국 시장에서의 수요 부진을 그 외 지역에서의 판매 증가로 상쇄한 덕분. 반면 영업이익은 38% 감소. 주로 원재료 비용 부담 때문. 또한 중국이 이익 기여가 큰 지역이었고, 현지 코로나로 부품수급 차질이 발생했다는 점도 문제. 중국 수요감소는 타 지역 판매증가로 극복. 하지만 생산차질의 문제는 단시일 내에 해결되기 어려운 부분. 핵심 부품의 외부 조달 비중이 높은 회사는 고민이 필요. ​ 실적요약 - 중국지역 1 분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63% 감소 전사 매출에서의 비중도 전년 동기 33% 에서 이번 분기 12% 로 축소 - 하지만 전사..

기업분석 2022.05.10

중국 락다운 피해 장비주, 2분기 기저효과 기대 - 한미반도체

한미반도체 2022년 1분기 잠정 실적 매출: 632억(예상치: 842억) 영업익: 213억(예상치: 264억) ** 최근 실적 추이 ** 2022.1Q 632억 / 213억 / - 2021.4Q 1,016억 / 357억 / 297억 2021.3Q 917억 / 309억 / 267억 2021.2Q 1,089억 / 364억 / 277억 2021.1Q 709억 / 193억 / 204억 1분기 실적은 YOY로 매출감소, 이익은 약간 증가. 매출감소가 좀 의외네요. 매출이 감소하였다고 하지만 영업이익률은 33%가 넘으며 여전히 수익률이 좋은 상황입니다. 아무래도 중국 코로나봉쇄등의 영향으로 인한 물류의 영향이 커보입니다. 실적 영향이 주가에 어떻게 반영될지 모르겠지만 기회를 준다면 매력적인 가격이 아닐까 합니다...

기업분석 2022.05.05

[F&F] 중국 코로나 봉쇄에 따른 영향

F&F의 2022년 1분기 매출액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대비 각각 57.4%, 94.4% 증가한 4,371억원, 1,346억원 ** 최근 실적 추이 ** 2022.1Q 4,371억 / 1,346억 / 964억 2021.4Q 5,632억 / 1,837억 / 1,291억 2021.3Q 3,289억 / 957억 / 711억 2021.2Q 1,971억 / 432억 / 318억 - MLB 국내: 브랜드력 증대(비면세 +58%, 키즈 +17%) vs. 면세(+4%) 물량 조정 - MLB 중국: 온라인(+63%) 및 오프라인(+243%) 강세 지속, 역대 최고치 재경신 - Discovery: 아웃도어 강세 기반 판매 호조 지속(+18%) 1분기에도 양호한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코로나 봉쇄로 중국사..

기업분석 2022.05.03

[반도체] 한솔케미칼, 원익IPS, 테스, 케이씨텍

1. 한솔케미칼 1분기 실적은 낮아진 기대치에 부합할 전망 - 동사의 1분기 실적은 매출액 2,079억원, 영업이익 572억원으로 최근 낮아진 시장 기대치에 부합할 것으로 판단한다. - 과산화수소 원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와 천연가스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 또한, NB라텍스 역시 높은 유통재고로 인해 전방 수요가 낮아졌다 - 반면, QD 소재, 프리커서, 2차전지 소재 등 전자재료 매출이 꾸준히 증가해 1분기 실적은 전년대비 소폭 좋을 것으 로 기대한다. 올해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실적 성장세 지속 전망 - 과산화수소 사업은 점진적으로 원가 상승분이 판가에 전가되어 수익성이 다시 회복할 것으로 판단한다 - 전자재료 사업이 캐쉬카우 역할을 해주면서 분기 영업이익 ..

기업분석 2022.04.06
반응형